top of page

수소 연료전지 | Hydrogen Fuel Cell
사업 소개
연료전지란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친환경적 신에너지 기술입니다.
수소와 산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발전효율이 높으며, 기존 화석연료와 달리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미래 고갈위험이 없어 미래형 에너지원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12조에 의거한 발전사업)
연료전지 발전 개념도
물

연료전지 발전 원리
-
스택(Stack): 연료극, 전해질층, 공기극으로 접합된 셀의 집합체
-
수소를 연료극으로 공급하면 수소이온(+) 과 전자(e-)로 분리합니다.
-
수소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공기극으로, 전자는 촉매막에서 전자를 잃는 산화과정 (e-)을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합니다.
-
최종적으로 공기극에서 수소이온이 산소이온이 반응하여 전기, 물 그리고 열을 생산합니다.
기대효과
-
교효율, 친환경 발전장치인 동시에, 대기오염물질 배출거의 없음
-
전기효율 높으며, 운전 중 저소음으로 도심지역 설치가능
-
타 연료발전설비 대비 이산화탄소배출량 45%, 1차 에너지 소비량 31% 절감
HPS 제도
HPS(수소발전 의무화제도)는 기존 RPS제도 시스템에서 수소경제산업 기반 구축의 목표를 두고 수소발전을 구분하여 별도로 의무화한 제도입니다.

(*1) HPS 낙찰물량 외 FC에 대해서는 SMP만 보상 → REC를 발급하지 않음 / RPS 고시 개정필요
(*2) 수소발전의무화제도 대상 설비는 전기사업법상 사업용 발전설비로 제한
(*3)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의2 1항에 따른 분산형 전원규모
장안하이드로젠 연료전지사업
토지이용계획
-
사업부지 : 명례일반산업단지 內
-
사업계획 : 연료전지발전사업 계획 (2026년 준공 예정)
-
부지검토 : 산업시설용지 부지로서 토지이용 계획상 연료전지발전사업 가능여부 검토
-
산업단지관리기본계획 변경 검토
-
산업직접법시행령 제43조6항의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시설 용도변경 검토여부
도시가스 공급 계획
-
사용연료 : 본 발전사업은 연료전지발전사업으로 도시가스(LNG) 공급이 필수적
-
지역도시가스(부산도시가스)에서 가스 공급의향 필요 (공급량 : 약 22,000N㎥/hr)
변전소 용량
-
발전용량 : 99.8MW로 송전가능여부 한전전력계통부 확인필요
-
명례분기(154 S/S) 송전선로연계 계통 (부지내 154/22.9kV Substation - 송전탑)



bottom of page